지금은 단종되었지만 군사용 차량 중에 가장 인기 있는 차종 중 하나인 k-131 레토나
레토나 개요
레토나는 한국의 군대에서 일반적으로 장교들이 많이 타는 차량으로 대대장이나 준장 등까지 이용하는 차량으로 쓰였습니다. 보통의 대대급에서 1호차라고 부르는 것들이 이런 자동차입니다. 요즘은 이 1호차가 민수 자동차인 코란도 스포츠로 바뀌기도 하였습니다. 현재는 중대장급 장교들이나 부사관들이 많이 타는 자동차입니다. 원래 이 자동차의 원류는 아시아 자동차였지만 기아자동차가 아시아자동차를 인수하면서 기아자동차의 모델이 되었습니다. 현재는 신차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단종된 자동차입니다. 이 차량이 특별한 이유는 지휘관 차량으로서 북한과의 전쟁을 대비해 EMP와 같이 전자기능을 혼란시키는 상황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도록 전자파 관련 장치를 장착했다는 점입니다. 초기 개발 단계에서는 지프와 유사한 형태로 방탄의 기능을 가진 차량으로 만들어질 계획이었지만 험비 스타일의 기동성 있는 차량을 개발한다는 군의 전략 아래 레토나는 그저 중대장급 지휘관이 타는 차로 이미지가 굳어져 버렸습니다. 이 차량은 가솔린으로 운용되는 차량이 많습니다. 이에 다른 디젤 자동차에 비해서 힘이 떨어진다는 의견들이 많기도 했습니다. 아무래도 운전 경험이 많지 않은 병사들이 주로 운전하는 자동차이다 보니 이런 평가가 나오기도 했지만 사실 그렇게 힘이 떨어지는 자동차는 아닙니다. 물론 디젤엔진에 비해서 넉넉한 힘을 가지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일반적으로 높은 RPM 상태에서 운용하기에는 전혀 아쉬움이 없는 자동차이기도 합니다. 반면 디젤 기반 자동차는 사실 저 알피엠 상태에서도 높은 토크가 나오고 클러치를 조작하는데 더 쉽기 때문에 운전자 입장에서는 더 편하게 느껴지는 것은 당연합니다. 현재 이 레토나 차량으로 높은 경사로를 타고 올라가기 위해서는 3~4000 정도 높은 수준의 알피엠을 구동해야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합니다. 만약 운행 중이 차량의 힘이 모자라다면 1단 2단 3단 기어를 사용하여 저속 상태로 운행하여 험난한 도로도 운행이 가능하게 됩니다.
레토나에 대한 소문과 사실
병사들 사이에서는 이런 소문이 돌기도 합니다. 만약 차량의 이용자가 영관급 이상이고 운전병의 계급이 높다면 최신 음악들이 차량에 설치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당연하게도 이는 루머에 불과합니다. 애초에 출시 시기부터 차량에는 오디오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다만 카오디오를 자체적으로 제거해서 팔아버렸던 등의 경우도 있어 이런 루머가 생성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현재는 카오디오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도 카팩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연결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레토나에 별을 달고 다니는 차량이 있습니다. 이를 성판이라고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평소에 별을 가리고 있다가 장군급 장교가 이용해야 하는 상황에 그 가림막을 제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성판이 달려있다고 더 좋은 성능을 가진 것은 아닙니다. 또한 차량 자체가 크지 않아 운전병들의 운전 연수에 쓰이기도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
본격적으로 민자 모델로 교체되어버린 레토나입니다. 지프 스타일의 단단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어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기도 합니다. 운전병들이 처음에 배치받고 시동을 여러 번 꺼트린 것으로 기억되는 자동차입니다. 군 복무 당시에는 대대장급 장교들이 타고 다니는 자동차였습니다. 뒤에는 4명 정도 타고 다닐 수 있었고 2호차의 경우 평소에는 장교나 부사관들도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었습니다. 현재 시점에서 많이 교체되었다고 들어 아쉬움이 남기도 합니다만 부족한 안전성이나 완충장치들을 감안하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생각되기도 합니다. 이 차량에는 안테나가 달려있기도 하는데 이 안테나가 주렁주렁 여러 개 달려있는 차량이 오면 높은 계급의 군인이라고 판단하여 비상사태가 났던 기억도 어렴풋이 있습니다. 당시에는 멀리서부터 이런 차량이 오는지 안 오는지 감시하는 게 주간 위병소 근무의 주목적이기도 했습니다. 후속 모델이 출시되었다고 하는데 많이 보이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제 눈에만 안 보이는 것인지 제가 군대에 대해 관심이 끊어졌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것인지 그것이 궁금하기는 합니다.
'강덕구의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내연기관 자동차 대체 예상시기 (0) | 2021.02.23 |
---|---|
포드 브롱코 정보와 출시시기 (0) | 2021.02.21 |
군용자동차의 종류와 특징 (0) | 2021.02.20 |
쌍용차의 코란도 부진 이유 (0) | 2021.02.18 |
애플카가 주식 시장에 준 파급력 (0) | 2021.02.18 |